PROJECT 2019

미지의 섬

UNDISCOVERED ISLAND 

한려해상국립공원, 거제도 행정관내의 유인섬, 무인섬의 환경을 조사하고, 항해를 기반으로 한 섬트레킹, 섬 여행 프로그램 기획  (한국관광공사 예비관광벤처 인증 프로그램)

PROJECT 2019

블루칼라의 정원

A GARDEN OF BLUE COLLAR

조선소에 근무하는 청년 노동자들을 위한 자연치유 프로그램 : 청년 기반 문화시설이 부재한 거제도에서 블루칼라의 일원으로 살아가는 청년들과 함께 거제도의 로컬 문화를 함께 향유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숲과 자연에서의 활동을 통하여 자연친화적인 인간의 원초적 성향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한다.


  • 일시 : 2019년 05월 ~ 12월 
  • 장소 : 경남 거제시 동부면 구천리 잔디밭골 마을
  • 내용 : 청년들을 위한 허브체험 / 청년농부 : 텃밭분양 / 초보농부 : 새참의자만들기 + 귀촌청년 사례공유 / 가을동네잔치 : 추 섬 추 섬 
  • 문화체육관광부 / 지역문화진흥원 : 청년문화우리 (문화가 있는날)

PROJECT 2015 ~ 2018

문화기획 및 교육프로그램

LOCAL PROJECT AND EDUCATION PROGRAM

2015년부터 2018년도 까지 독립기획자에서 독립 에듀케이터 그리고 로컬 디자인 섬도로 이어지는 아이디어들. 문화예술 프로그램 프로젝트 기획안, 문화와 예술, 지역에 대한 고민을 전시, 행사, 캠프, 축제, 교육 등의 형태로 진행.

로컬아트 프로젝트 : 촌구석쌀롱 (2015)


거제도의 유휴공간을 이용하여, 일정기간 아티스트 레지던시로 이용 후 작가의 공간을 그대로 여행숙소로 임대하여, 지역문화공간 겸 여행자들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 + 수익구조 형성 프로젝트 (문화체육관광부/경남문화예술진흥원)


아이디어 포 거제 아일랜드 (2016)


유휴공간에 문화공간으로서의 현실적인 가능성을 실험하는 아트캠프 겸 파일럿 프로젝트, 영남권의 작가들과 함께 거제도를 탐방하고, 공간에 대한 가능성을 실험했던 프로젝트 (한화생명/사단법인 씨즈)

아이디어 포 거제 아일랜드 : 전시 (2016)


아트캠프를 통해서 실험되고, 기록되었던 것들을 전시하고, 작업으로서 거제라는 지역에 대한 작가들의 시선을 거제시청과 유휴공간에서 전시진행 (한화생명/사단법인 씨즈)

섬새한 마을 (2016)


거제도는 섬이라는 특성상 다양한 조류의 관찰이 가능하다. 섬의 새들을 위한 집을 만들어주고, 지역의 특산물의 로고와 브랜딩 사업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마을브랜딩 + 교육 사업 (경남문화예술진흥원)

창원 귀농인의 집 : 5 senes + 1 (2016)


창원 단감테마파크 인근의 귀농인의 집을 심리상담센터 + 공원으로 활용하는 아이디어 기획안, 창원시 산업단지와 공공기관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을 위한 상담치유센터 및 교육 프로그램 기획 (창원시)

바다는 럼블범블 / 신아조선소 (2016)


더이상 운영하지 않는 신아조선소 부지를 문화공간으로 재탄생시키고, 작가들을 위한 작업공간과 주민들을 위한 향유공간으로 운영을 제안했던 기획안.

동피랑 : 메이즈 빌리지 (2016)


동피랑 마을의 특성이 미로같은 것에서 시작하여, 동피랑 내의 빈집을 활용하고, 관광 콘텐츠로 만들수 있도록 하는 지역/문화/공간/사회문제에 대한 기획안.

잔디밭골 버드파크 (2016)


거제도 난대수목원 예정지에 원래는 새를 관찰할 수 있는 새공원이 예정되어 있었다. 새공원을 위한 교육안, 공간 활용안, 콘텐츠 등을 정리한 아이디어 기획안.

옐로우 볼케이노 : 노랑축제 (2017)


제주도와 노랑, 화산, 축제를 컨셉으로 한 페스티벌 기획 : 마을장터와 공연 등 복합 지역축제를 마을주민들과 제주도 기업 + 행정이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했던 노랑축제 기획안 초안.

예술감상교육 : 토요 꿈다락 문화학교 (2016)


왜. 우리는 전시장이나 갤러리를 어렵다고 생각할까 그리고 그 곳에 있는 예술작품을 어떻게 바라보고, 해석하고 받아들여야 하는지에 대한 감상교육진행 (창원시)